하마뉴스 ; 정치하는엄마들 NEWS
184 subscribers
3.32K photos
43 videos
33 files
4.12K links
Download Telegram
[연대|여가부 폐지 저지와 성평등 정책 강화를 위한 범시민사회 전국행동]

오늘 12월 8일 정치하는엄마들 권은숙·박민아 활동가는 동작구을 이수진 의원실(최재영 비서관)과 동작구갑 김병기 의원실(방정환 비서관)에 국회의원 면담 요청 및 입장문을 전달했습니다.

🟣입장문 자세히 보기
https://www.politicalmamas.kr/post/2704

🔥더 거세게, 가열차게! 성평등한 사회를 바라는 여러분의 목소리를 국회에 전해주세요!🔥

윤석열 정부의 '여성가족부 폐지' 정부조직법 개편안이 통과되지 않도록 국회의원들의 적극적인 역할을 촉구하는 캠페인! 벌써 3800여명의 시민들이 함께해주었습니다.

더 거세게, 가열차게! 성평등한 사회를 염원하는 여러분의 목소리를 담아 국회에 전하는 행동에 함께 해주세요.

이 사회의 주권자로서 전체 국회의원에게 직접 요구해주세요🔥

QR코드를 스캔하여 캠페인에 참여하시면 국회의원들에게 여성가족부 폐지안에 반대하고 성평등 전담부처를 강화할 것을 촉구하는 내용의 이메일이 자동 발송됩니다.

🟣[캠페인 참여] 국회의원들에게 촉구하기🔗
https://campaigns.kr/campaigns/803

#성차별 #젠더폭력 #성평등 #여성가족부_폐지_저지와_성평등_정책_강화를_위한_범시민사회_전국행동 #모두가엄마다 #정치하는엄마들 #모두를위한평등
[연대 | 청년비정규직 노동자 고 김용균 4주기 추모위원회]

오늘 12월 8일 정치하는엄마들은 사무국이 있는 서울 대방역 부근에 고 김용균 4주기 추모 주간을 알리는 현수막을 걸었습니다.

•~•~•~•

|마석| 청년비정규직노동자 고 김용균4주기 추모제 "김용균, 그리고 우리"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2022년 12월 10일 (토) 10:30
마석 모란공원묘역

** 추모제 이후 16:30에는 4주기 추모기간 마지막 일정으로 종각에서 추모문화제가 열립니다.

문의 : 010-3260-1942 (김용균4주기추모위 조혜연)

•~•~•~•

|서울| 김용균4주기 1210 추모행동 ❝일하다 죽지 않게, 차별받지 않게❞

일시 : 2022년 12월 10일(토) 16:00
장소 : 종각역 광교빌딩 앞

*추모문화제 진행 후 세종문화회관까지 진행

공동주최 : 김용균4주기 추모위원회 | 민주노총 | 노조법 2조3조 개정운동본부 | 비정규직이제그만공동투쟁 | 중대재해없는세상만들기운동본부
 
문의 : 010-3365-9404 권미정 김용균4주기추모위 | 010-2224-3975 한경준 노조법 2조3조 개정운동본부 | 
          010-3782-1871 정재현 민주노총 | 중없세운동본부 | 010-7355-9826 유홍희 비정규직이제그만

🟣소식 자세히 보기
https://www.politicalmamas.kr/post/2706

#모두가안전한일터 #모두가안전한사회 #일하다죽지않게차별받지않게 #청년비정규직_노동자_고김용균_4주기_추모위원회 #모두를위한평등 #모두가엄마다 #정치하는엄마들
[연대 | 논평] 차별금지법제정연대

여전히 차별금지법이 없는 대한민국에서 맞이하는 74번째 세계인권선언일


"모든 사람은 인종, 피부색, 성, 언어, 종교, 정치적 또는 기타의 견해, 민족적 또는 사회적 출신, 재산, 출생 또는 기타의 신분과 같은 어떠한 종류의 차별이 없이, 이 선언에 규정된 모든 권리와 자유를 향유할 자격이 있다. "

1948년 12월 10일, 유엔 총회에서는 위와 같은 문장이 포함된 세계인권선언을 만장일치로 채택하였습니다. 차별금지의 원칙이 세계시민들의 인권의 원칙임을 선언한지 74년이 흘렀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여전히 '사회적인 합의와 공론화가 필요하다'는 주장에 차별금지법 제정이 가로막힌 현실에 놓여있습니다.

지난 12월 7일 제네바에서는 유엔의 많은 특별보고관들과 인권 전문가들이 연명한 입장이 발표되었습니다. 이들은 세계인권선언 채택 75주년인 2023년에는 유엔의 모든 회원국들이 차별금지법 제정을 우선순위로 삼을 것을 촉구하면서 이를 위한 실무가이드까지 발표하였습니다.

대한민국은 유엔의 회원국으로서 차별금지법 제정으로 향하는 길의 어디쯤 와있습니까. 매년 돌아오는 12월 10일 차별금지법이 없는 현실을 개탄하기가 몇 년째입니까. 세계인권선언일을 하루 앞둔 오늘 정치권을 비롯한 각계각층에서 기념사와 축사가 쏟아집니다. 이 법을 제정할 가장 큰 책임있는 국회도 마차가지였습니다. 한국은 이제 차별금지법 제정의 필요성을 절감하는 시기를 지나 차별금지법 제정의 효용성을 체감할 수 있는 나라로 거듭나야 합니다.

2022년이 차별금지법이 없는 한국에서 발표되는 차별금지법제정연대의 마지막 세계인권선언일 논평이기를 바라며 차별금지법 즉각 제정을 강력히 촉구합니다.

2022년 12월 9일
차별금지법제정연대

📍차제연 성명 및 유엔의 입장과 가이드라인
https://equalityact.kr/1209-2/

#세계인권선언일 #차별금지법즉각제정하라 #모두가엄마다 #정치하는엄마들 #모두를위한평등
소수자들이 등장하는 더 많은 기사의 댓글 창을 닫아보자

[미디어오늘 | 기자 장슬기]

성범죄뿐 아니라 성소수자·어린이·양육자·장애 관련 기사도 혐오 댓글 양산 언론사들 포털·유튜브 댓글 비활성화 적극적으로 고민해야…혐오 댓글에 소수자들 대응 어려워

기후위기가 미래세대에게 더 큰 공포로 다가온다는 점에서 삼척블루파워 건설은 삼척만의 문제가 아니고, 어른들만의 문제가 아니다. 이에 지난달 23일 장하나 정치하는엄마들 활동가는 주간경향에 관련 칼럼에서 “11월23일부터 국회 앞에서 탈석탄법 제정을 촉구하는 탈석탄행동을 시작한다”며 “미래를 이끌어갈 어린이 기후활동가 여러분의 적극적인 참여를 부탁드린다”고 썼다.

느닷없이 이 칼럼에 어린이와 엄마 등 양육자를 혐오하는 댓글이 달렸다. 칼럼의 취지와 큰 관련없는 공격이다. 발전소 건설 반대 근거를 대면 될텐데 이럴 일인가. 해당 칼럼이 1차적으로 설정한 독자가 어린이와 양육자란 점에서 해당 댓글은 폭력적이다. 그동안 양육자들뿐 아니라 다수 교사가 공통적으로 하소연하는 내용 중 하나는 “어린이들과 함께 기사를 읽거나 포털에서 뭘 검색할 수 없다”는 것이었다. 어린이와 엄마 등 양육자 혐오가 일상적이고 전방위적이기 때문이다. 

지난해 8월말 네이버는 각 언론사 개별 기사 댓글 창에 온·오프(ON·OFF) 기능을 제공하기로 했고, 지난해 11월 한겨레는 성범죄 관련 기사의 경우 2차 피해의 공간이 되고 있다는 문제의식에 댓글 창을 닫기로 결정했다. 성범죄 관련 기사에 대해서는 댓글 창을 닫아야 한다는 문제의식이 언론계에 일부 공유가 됐지만 양육자들과 어린이들이 보기에는 이 정도로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기사 전문 보기
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Amp.html?idxno=307371

#댓글역기능 #소수자혐오양산 #그런말은전혀괜찮지않습니다 #언론사문제의식필요 #모두가엄마다 #정치하는엄마들 #미디어감시 #핑크노모어 #언론시민미디어랩 #PinkNoMore #PoliticalMamas
[토론회 소식] 미래환경 대응연구 2차 정책포럼

❝함께 만들어가는 미래 영유아교육 : 기후, 그린, 생태❞

▪️ 일시 : 2022. 12. 13. (화) 14:00 ~ 16:30
▪️ 장소 : 육아정책연구소 대회의실 * 유튜브 '육아정책연구소TV' 생중계

▪️ 사회/ 좌장 : 박창현 육아정책연구소 연구위원

▪️ 프로그램
개회사 |박상희 (육아정책연구소 소장)

축 사
|한경구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사무총장)
김영춘 (전 국회 사무총장),
김병욱(국) (국회의원)

발제 및 토론
발제 1 | 지옥정 (한국교통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일상의 삶•놀이와 밀착된 유아 기후/환경교육

발제 2 | 오창길 (자연의벗연구소 대표, 서울 마포구 환경교육센터장) 생태적 감수성을 키우는 어린이 놀이터 운동

발제 3 | 김은주 (부산대 유아교육과 교수)
생태영유아교육, 한국사회에 던진 화두와 앞으로의 과제

[종합토론]

토론 1 | 장하나 (정치하는엄마들 공동대표) 공존이 생존이다 : 아기기후소송과 어린이 정치 참여 🙋🏻‍♀️

토론 2 | 홍보강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교육팀장) 유네스코 지속가능발전교육 2030과 ESD 인증유치원과 어린이집 사례

토론 3 | 임미령 (수도권생태유아공동체 이사장) 생태유아교육의 유치원 어린이집에의 적용과 과제

|교육부, 복지부, 환경부 | ※질의응답 : 온/오프 청중

🟣소식 자세히 보기
https://www.politicalmamas.kr/post/2670

#미래환경대응연구2차정책포럼 #육아정책연구소 #정책토론회 #교육부 #복건복지부 #환경부 #아기기후소송 #어린이정치참여 #모두가엄마다 #정치하는엄마들 #장하나활동가
이제 우리에게도 '환대의 병원'이 필요하다

[오마이뉴스 | 서이슬 정치하는엄마들 활동가]

차갑고 무심한 한국 병원들... 부천에서 만난 '새로운 병원'을 꿈꾸는 사람들

병원이 '환대의 공간'일 수 있다는 것을 그때 알았다. 갓 태어난 아이를 MRI실로, 초음파실로 들여보내고, '클리펠-트레노네이 증후군(Klippel-Trenaunay Syndrome)'이라는 낯선 병명을 받아 들고 미친듯이 검색을 해대던 그 겨울 밤에, 병원은 외국인인 나에게 따뜻한 안식처가 되어주었다. 병원 내 사회복지사는 우리의 형편을 알아보고 아이의 병원비를 지원받는 데 필요한 행정처리를 빠르게 해주었다. 저녁 때가 되면 그 지역 단체들이 돌아가며 따뜻한 식사를 제공해주었는데, 그 때 먹은 따끈한 그레이비를 끼얹은 매쉬드 포테이토와 비스킷 같은 음식들은 10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내게 '소울 푸드'로 기억되고 있다.

그런 병원을 여기서도 만나고 싶다

귀국 후 아이를 데리고 다녀본 한국의 많은 병원은 차갑고 사무적이며 무심하고 바빴다. 아이의 선천성 질환은 특별한 이유 없이도 고열과 극심한 통증을 일으키곤 하는데, 거기엔 항생제 열흘 처방 밖에는 방법이 없다. 동네 소아과 의사들은 의대 시절 교과서에서나 스쳐가듯 보았을 아이의 병명을 듣고 손사래를 치며 무조건 '다니던 상급병원으로 가라'고 등을 떠밀었다. 상급병원엘 가도 어차피 항생제 처방밖에 방법이 없는데 대기시간만 길어져 아이가 고생한다고 말했지만 소용없었다. 고열로 시내 2차병원 응급실에 갔을 때는 아이의 증상과 대처방법을 읊는 내게 "(당신이) 의사냐?"며 힐난하고 (나보다 이 질환에 대해 많이 알지 못하는) 남편을 향해서만 말하는 권위적이고 가부장적인 응급의학과 당직 의사와 멱살잡이를 할 뻔했다.

그렇게 돌고 돌아 만난 곳이 부천 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에서 운영하는 부천 시민의원이었다. 그리고 이곳에서, '새로운 병원'을 꿈꾸는 사람들을 만났다. 올해 부천에는 '부천시 공공병원설립시민추진위원회'가 만들어졌고, 그 덕분에 공공의료 관련 책을 읽고, 회의를 하고, 강연을 들으며 내가 꿈꾸는 새로운 병원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는 기회를 얻었다. 그 과정에서 정리된, 내가 원하는 병원의 모습은 다음과 같았다.

🟣전문 보기
http://omn.kr/21yde

#돌봄 #공공의료 #공공병원 #돌봄선언 #보편적돌봄 #환대의병원 #부천시공공병원설립시민추진위원회 #모두가엄마다 #정치하는엄마들 #부천회원모임 #모두를위한평등 #서이슬활동가
[아동학대대응 소식] 훈육과 학대 사이, 그 비극의 시작을 막으려면

12월 8일(목) 충무아트센터에서 세이브더칠드런이 주최한 아동권리 컨퍼런스 [세션 1] 체벌없이 아이 키우기에서 비폭력 양육 문화 확산을 위한 방향을 모색하는 자리에 정치하는엄마들 서이슬 활동가 토론자로 함께 했습니다.

서이슬 활동가는 아동친화적이지 않은 사회와 양육자가 겪는 어려움에 대해 경험하거나 교육받은 적 없는 양육문화가 학대의 씨앗이 된다고 보고,

양육자가 고립되지 않도록 '양육은 누구에게나 어렵다'는 이해, '그 어려운 일을 당신이 해내고 있다'는 인정, 그리고 양육자와 아동을 기다려주는 전사회적 노력이 필요함을 강조했습니다.

🟣자료집 보기
https://www.politicalmamas.kr/post/2658

#아동권리컨퍼런스 #폭력으로부터아동보호 #체벌없이아이키우기 #비폭력양육문화 #아이는누가길러요 #모두가엄마다 #정치하는엄마들 #아동학대대응 #모두를위한평등 #서이슬활동가
[돌봄이야기마당] 학원뺑뺑이에 지친 엄마아빠 모여라 🙌

여러분의 아이는 몇 개의 학원을 다니나요?🏫💒🏠

초등학교 하교 후, 아이들을 학원에 보내지 않으면 돌봐줄 곳이 없다는 것이 우리의 현실입니다. 아이를 돌봐줄 누군가를 고용하거나 조부모에게 맡기기도 하지만 이 또한 비용이 들고, 다른이의 희생을 요구하는 일입니다💧

초등돌봄교실, 다함께돌봄센터, 우리동네키움센터...나라에서 뭔가 하는 것 같기는 하지만 정작 나에게는 해당이 안됩니다. 그런데 정부는 공공 돌봄을 더 확대하지는 못할망정 돌봄 예산을 삭감하고, 초등돌봄 사업을 민간이 주도하는 방식으로 바꾸려고 합니다😡

국가는 우리 아이들을 안전하게 돌봐줄 공간을 만들어야 할 책임이 있습니다. 그런데 왜 민간에게 맡기겠다는 것일까요? 아이들을 안전하게 돌봐줄 공간, 돌봄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데 방안은 없는 걸까요?

그래서 마련했습니다. 돌봄에 대해 고민하고, 얘기를 나누고 싶은 엄마, 아빠, 할아버지, 할머니, 선생님 등 모두 모여주세요! 서로의 돌봄에 대한 경험을 나누어 보아요👩👨👴👵👩‍🏫


📍 일시 : 2022년 12월 17일(토) 오후 2시
📍 장소 : 참여연대 2층 아름드리홀
📍 주최 : 참여연대, 돌봄 공공성 확대와 돌봄권 실현을 위한 시민연대

📞문의 : 02-723-5056

🖍참여신청>>https://forms.gle/JvMhaywXgv5uWDEFA

#돌봄 #학원뺑뺑이 #초등돌봄교실 #다함께돌봄센터 #우리동네키움센터 #공공돌봄예산삭감하는현실 #돌봄공공성확대와돌봄권실현을위한시민연대 #돌봄공공연대 #모두가엄마다 #정치하는엄마들
[연대 | 탈석탄법 제정을 위한 시민사회연대]

❝ 석탄발전소가 온실가스와 미세먼지를 엄청 많이 보낼 건데, 지금도 아픈 지구를 더 많이 아프게 할 거에요. 검은 숨을 쉬고 싶지 않아요. 검은 하늘, 검은 바다를 보기 싫어요. 나와 내 친구들이 함께 살 지구를 제발 아껴주세요 ❞

- 김한나 활동가 (8세)

📣[하마TV] https://youtube.com/shorts/ZGa0eNIZjis

🔥 탈석탄법 제정을 위한 모두의 행동 🔥

12월 한달 간, 신규석탄발전소 철회를 위한 탈석탄법 제정을 촉구하는 국회 앞 피켓팅 이어갑니다. 많은 분들의 참여 부탁드려요!

|시간 : 11월 23일부터 12월 30일까지, 11시 30분~12시 30분
|장소 : 국회 앞(국회의사당역 6번출구 앞 건널목)

🟣참가 신청 : bit.ly/3gs7r4p

#탈석탄행동 #탈석탄법제정 #삼척석탄발전철회 #삼척블루파워 #포스코 #posco #국회앞피켓팅 #기후활동가 #김한나활동가 #모두모여라 #모두가엄마다 #정치하는엄마들 #지구하마 #하마TV #Shorts #Poilitcialmamas
[토론회 소식] 미래환경 대응연구 2차 정책포럼

❝함께 만들어가는 미래 영유아교육 : 기후, 그린, 생태❞

▪️ 일시 : 2022. 12. 13. (화) 14:00 ~ 16:30
▪️ 장소 : 육아정책연구소 대회의실 *

[유튜브 '육아정책연구소TV' 생중계]
🔴https://www.youtube.com/live/YaVyH4tO20w?feature=share

▪️ 사회/ 좌장 : 박창현 육아정책연구소 연구위원

▪️ 프로그램
개회사 |박상희 (육아정책연구소 소장)

축 사
|한경구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사무총장)
김영춘 (전 국회 사무총장),
김병욱(국) (국회의원)

발제 및 토론
발제 1 | 지옥정 (한국교통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일상의 삶•놀이와 밀착된 유아 기후/환경교육

발제 2 | 오창길 (자연의벗연구소 대표, 서울 마포구 환경교육센터장) 생태적 감수성을 키우는 어린이 놀이터 운동

발제 3 | 김은주 (부산대 유아교육과 교수)
생태영유아교육, 한국사회에 던진 화두와 앞으로의 과제

[종합토론]

토론 1 | 장하나 (정치하는엄마들 공동대표) 공존이 생존이다 : 아기기후소송과 어린이 정치 참여 🙋🏻‍♀️

토론 2 | 홍보강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교육팀장) 유네스코 지속가능발전교육 2030과 ESD 인증유치원과 어린이집 사례

토론 3 | 임미령 (수도권생태유아공동체 이사장) 생태유아교육의 유치원 어린이집에의 적용과 과제

|교육부, 복지부, 환경부 | ※질의응답 : 온/오프 청중

🟣소식 자세히 보기
https://www.politicalmamas.kr/post/2670

#미래환경대응연구2차정책포럼 #육아정책연구소 #정책토론회 #교육부 #복건복지부 #환경부 #아기기후소송 #어린이정치참여 #모두가엄마다 #정치하는엄마들 #장하나활동가
[연대 | 탈석탄법 제정을 위한 시민사회연대]

❝ 개인이 희생하고 기업이 사는 이 체재를 바꿔야 합니다. 투쟁! ❞

_ 김방희 대표 | 세상을여는천주교여성공동체

📣[하마TV] https://youtube.com/shorts/VBL1mqknrF8

🔥 탈석탄법 제정을 위한 모두의 행동 🔥

12월 한달 간, 신규석탄발전소 철회를 위한 탈석탄법 제정을 촉구하는 국회 앞 피켓팅 이어갑니다. 많은 분들의 참여 부탁드려요!

|시간 : 11월 23일부터 12월 30일까지, 11시 30분~12시 30분
|장소 : 국회 앞(국회의사당역 6번출구 앞 건널목)

🟣참가 신청 : bit.ly/3gs7r4p

#탈석탄행동 #탈석탄법제정 #삼척석탄발전철회 #삼척블루파워 #포스코 #posco #국회앞피켓팅 #기후활동가 #세상을여는천주교여성공동체 #김방희대표 #모두모여라 #모두가엄마다 #정치하는엄마들 #지구하마 #하마TV #Shorts #Poilitcialmamas
[연대 | 10.29 이태원 참사 시민대책회의]

❝우리를 기억해 주세요❞

10.29 이태원 참사로 158명의 소중한 이들을 떠나보낸지 벌써 49일이 되어갑니다. 희생자들을 기억하고 그 유가족과 생존 피해자들을 위로하는 추모의 자리에 함께 해주세요.

10.29 이태원 참사 유가족협의회 주최 참사 49일 시민추모제

🌟일시 : 12월 16일(금) 오후6시
🌟장소 : 이태원역 앞 도로(녹사평역 3번출구를 이용해 주세요)
🌟주관 : 10.29 이태원 참사 유가족협의회 / 10.29 이태원 참사 시민대책회의

✔️준비물
- 추모를 위한 복장으로 참석해 주세요.
- 깃발은 검은리본을 달아주세요.
- 깔개, 장갑 등 방한용품을 챙겨주세요.
- 촛불 앱 또는 LED 초를 준비해 주세요.

🟣자세히 보기
https://www.politicalmamas.kr/post/2709

#1029이태원참사유가족협의회 #1029이태원참사시민대책회의 #우리를기억해주세요 #참사49일시민추모제 #연대 #모두가엄마다 #정치하는엄마들
[연대 | 탈석탄법 제정을 위한 시민사회연대]

❝녹색당 공동대표 김찬휘입니다. 화력발전소를 짓는 것은 인간에게도 지구에 있는 모든 생물, 인류 전체에 대해서 죄를 짓는 것입니다. ❞

_ 김찬휘 공동대표 | 녹색당

📣[하마TV] https://youtube.com/shorts/rsL_5xUwxJE

🔥 탈석탄법 제정을 위한 모두의 행동 🔥

12월 한달 간, 신규석탄발전소 철회를 위한 탈석탄법 제정을 촉구하는 국회 앞 피켓팅 이어갑니다. 많은 분들의 참여 부탁드려요!

|시간 : 11월 23일부터 12월 30일까지, 11시 30분~12시 30분
|장소 : 국회 앞(국회의사당역 6번출구 앞 건널목)

🟣참가 신청 : bit.ly/3gs7r4p

#탈석탄행동 #탈석탄법제정 #삼척석탄발전철회 #삼척블루파워 #포스코 #posco #국회앞피켓팅 #기후활동가 #김찬휘공동대표 #녹색당 #모두모여라 #모두가엄마다 #정치하는엄마들 #지구하마 #하마TV #Shorts #Poilitcialmamas